2025년 9월 7일 주식 가계부: 고용 쇼크지만 금리 인하니까 괜찮아…

안녕하세요, 주알남입니다.

2025년 9월 첫째 주 미국 증시는 정말 ‘역설의 한 주’였습니다. 8월 고용보고서가 시장 예상을 크게 밑도는 충격적인 결과를 보였지만, 이것이 오히려 연준의 금리 인하를 100% 확실하게 만들면서 시장이 상승하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졌습니다. 특히 구글의 반독점 소송 승리와 브로드컴의 깜짝 실적이 겹치며 기술주가 강세를 보인 가운데, 포트폴리오도 전반적으로 좋은 성과를 거둔 한 주를 상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주요 시장 지수 현황 (2025년 9월 1일 ~ 9월 7일)

S&P500: 6,481.50 🔺 +21.24 (+0.33%)
NASDAQ: 21,700.39 🔺 +244.84 (+1.14%)
DOW: 45,400.86 🔻 -144.02 (-0.32%)
RUSSELL2000: 2,391.05 🔺 +24.63 (+1.04%)
KOSPI: 3,205.12 🔺 +19.11 (+0.60%)
KOSDAQ: 811.40 🔺 +14.49 (+1.82%)

이번 주는 나스닥이 1.14% 상승하며 기술주 중심의 랠리가 두드러졌습니다. 반면 다우는 유일하게 하락하며 전통적인 가치주와 기술주 간의 명확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 포트폴리오 비중 및 수익률 변화

총 수익률은 지난주 대비 +0.89% 상승한 +6.7%를 기록했습니다.

종목비중(변동)수익률(변동)
IJR13.27% (+2.49%)+3.75% (+0.77%)
QQQM13.20% (+2.48%)+6.85% (+0.87%)
SPLG12.72% (+2.32%)+10.89% (+0.17%)
SCHD12.31% (+2.11%)+2.66% (-1.22%)
TSLL11.28% (+2.86%)+22.00% (+10.82%)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9.39% (+1.69%)-0.74% (-0.13%)
1Q 미국나스닥1008.61% (+1.58%)+0.55% (+0.32%)
SLDP6.84% (+1.04%)+42.27% (-5.02%)
1Q 미국S&P5006.72% (+1.25%)+0.50% (+0.50%)
동아쏘시오홀딩스2.96% (+0.52%)+3.50% (-0.75%)
QS2.62% (+0.45%)-23.41% (-1.02%)

이번 주 포트폴리오는 전반적으로 매우 좋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TSLL이 무려 10.82% 급등하며 누적 수익률이 22%에 달한 것입니다. 테슬라의 자율주행 규정 완화와 머스크의 새로운 성과급 패키지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기본 ETF들도 모두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며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입증했습니다. 특히 IJR이 0.77% 상승하며 소형주 강세에 동참했고, QQQM도 0.87% 상승하며 기술주 랠리를 따라잡았습니다.

SLDP는 5.02% 하락했지만 여전히 42%가 넘는 높은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어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장기 투자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주간 뉴스 요약

9월 2일 (화요일) – 9월의 불길한 시작

  • 전면 하락: 노동절 휴장 후 다우·나스닥·S&P 500 모두 1.3% 급락
  • 반도체 약세: 엔비디아 2.5%, AMD 3% 하락
  • 금·은 신고가: 금 3,549달러, 은 40달러 돌파로 안전자산 선호
  • 관세 무효 판결: 연방항소법원, 트럼프 상호관세 대부분 불법 판결

9월 3일 (화요일) – 구글의 대역전

  • 구글 9% 급등: 반독점 소송에서 크롬·안드로이드 매각 불필요 판결
  • 애플 동반 상승: 3.8% 상승하며 기술주 랠리 주도
  • 고용 우려 신호: JOLTS 구인건수 718만 건으로 10개월 최저
  • 금·은 연속 신고가: 금 3,615달러, 은 41.25달러 경신

9월 4일 (목요일) – 고용 지표 약화

  • S&P 500 신고가: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사상 최고치 경신
  • ADP 쇼크: 8월 민간고용 54,000명으로 예상치(73,000명) 크게 하회
  • 세일즈포스 급락: 실망스러운 가이던스로 8% 하락
  • 아메리칸이글 폭등: 예상 초과 실적으로 30% 급등

9월 5일 (금요일) – 고용보고서 대충격

  • 고용 대참사: 8월 비농업고용 22,000명으로 예상치(75,000명) 크게 미달
  • 실업률 상승: 4.3%로 2021년 이후 최고치 기록
  • 브로드컴 15% 급등: AI 매출 63% 증가, 100억 달러 주문 확보
  • 금리 인하 100%: 9월 금리 인하가 기정사실화

📌 다음 주 주목할 일정

9월 10일 (화요일): 고용보고서 벤치마크 수정, 오라클 실적 발표
9월 11일 (수요일):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
9월 12일 (목요일):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
9월 17-18일: FOMC 회의 (금리 인하 여부 최종 결정)

💭 종합 분석 및 향후 전망

이번 주는 정말 ‘나쁜 뉴스가 좋은 뉴스’가 된 대표적인 사례였습니다. 8월 고용보고서가 모든 면에서 참담한 결과를 보였지만, 이것이 오히려 연준의 금리 인하를 100% 확실하게 만들면서 시장이 상승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연출되었습니다.

이번 주 핵심 포인트들:

  1. 고용시장의 급격한 냉각: 8월 비농업고용 22,000명은 정말 충격적인 수준이었습니다. 더욱 심각한 것은 6월 고용이 -13,000명으로 하향 조정되면서 실제로는 일자리가 줄어들었다는 점입니다. 실업률도 4.3%로 상승하며 연준의 금리 인하 명분을 확실히 제공했습니다.
  2. 구글의 반독점 승리: 크롬과 안드로이드 강제 매각이 불필요하다는 법원 판결은 구글에게 ‘최상의 시나리오’였습니다. 9% 급등은 당연한 결과였고, 이는 빅테크 전반에 대한 규제 우려를 완화시키는 효과도 있었습니다.
  3. 브로드컴의 AI 파티: 네 번째 하이퍼스케일러 고객사(오픈AI로 추정) 확보와 100억 달러 규모 주문은 AI 붐이 여전히 진행 중임을 보여줬습니다. 15% 급등은 AI 관련주들에게 새로운 동력을 제공했습니다.

포트폴리오 관점에서는 정말 만족스러운 한 주였습니다. TSLL의 10.82% 급등은 테슬라 투자 전략이 적중했음을 보여주며, 자율주행 규정 완화와 머스크의 새로운 성과급 패키지가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기본 ETF들의 안정적인 상승도 포트폴리오 구성이 적절했음을 입증합니다. IJR의 소형주 투자와 QQQM의 기술주 노출이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SLDP의 5% 조정은 아쉽지만, 여전히 42%가 넘는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어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장기 투자 관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 최대 관심사는 목요일 발표될 8월 CPI입니다. 고용이 이렇게 급격히 둔화되었는데 인플레이션은 어떤 모습을 보일지가 연준의 금리 인하 폭을 결정할 것입니다. 현재 시장은 25bp 인하를 예상하고 있지만, CPI가 낮게 나온다면 50bp 빅컷 가능성도 있습니다.

화요일 고용보고서 벤치마크 수정도 주목해야 합니다. 추가적인 고용 데이터 하향 조정이 있다면 연준의 금리 인하 명분이 더욱 강화될 것입니다.

시장이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들뜨고 있지만, 고용시장의 급격한 둔화는 경기침체 우려도 함께 키우고 있습니다. 따라서 과도한 낙관론보다는 신중한 접근을 유지하며, 기존 포트폴리오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겠습니다.

9월은 역사적으로 증시 약세장으로 알려진 만큼, 변동성 확대에 대비하면서도 기회를 놓치지 않는 균형 잡힌 전략을 이어가겠습니다.

2025년 8월 10일 주식 가계부: V자 반등으로 되살아난 시장, 금리 인하 기대감 속 강력한 회복세

안녕하세요, 주알남입니다.

2025년 8월 둘째 주 미국 증시는 정말 극적인 한 주를 보냈습니다. 지난주 ‘검은 금요일’의 충격을 딛고 월요일부터 시작된 강력한 V자 반등으로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6월 이후 최고의 한 주를 기록했습니다. 고용 쇼크가 오히려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을 키우면서 ‘나쁜 뉴스가 좋은 뉴스’가 된 역설적인 한 주를 상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주요 시장 지수 현황 (2025년 8월 4일 ~ 8월 10일)

S&P500: 6,389.45 🔺 +151.44 (+2.43%)
NASDAQ: 21,450.02 🔺 +799.89 (+3.87%)
DOW: 44,175.61 🔺 +587.03 (+1.35%)
RUSSELL2000: 2,218.42 🔺 +51.64 (+2.38%)
KOSPI: 3,210.01 🔺 +90.60 (+2.90%)
KOSDAQ: 809.27 🔺 +36.48 (+4.72%)

이번 주 모든 주요 지수가 강력하게 반등하며 지난주 급락분을 완전히 회복했습니다. 특히 나스닥이 3.87%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 포트폴리오 비중 및 수익률 변화

총 수익률은 지난주 대비 +6.53% 상승한 +5.29%를 기록했습니다.

종목비중(변동)수익률(변동)
QQQM15.20% (+3.33%)+6.74% (+3.82%)
SPLG14.45% (+3.02%)+9.33% (+2.62%)
IJR14.25% (+2.96%)-3.27% (+2.10%)
SCHD13.99% (+2.87%)+0.00% (+1.84%)
TSLL11.69% (+3.63%)+9.72% (+16.35%)
SLDP6.27% (+2.22%)+32.64% (+26.85%)
QS3.38% (+0.80%)-14.28% (+4.88%)
SOL 미국S&P500매수매수
ACE 미국배당다우존스매수매수
TIGER 미국나스닥100매수매수

이번 주는 시장 반등과 함께 포트폴리오가 전반적으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TSLL이 16.35% 상승하며 테슬라의 강력한 반등을 보여줬고, SLDP 역시 26.85% 급등하며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의 저력을 확인했습니다.

지난주 ISA 만기를 앞두고 매도했던 일부 ETF들을 ISA 재개설과 연금저축계좌 이전과 함께 다시 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SOL 미국S&P500,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TIGER 미국나스닥100을 신규 매수하며 미국 지수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가져가고 있습니다.

📰 주간 뉴스 요약

8월 4일 (월요일) – 극적인 반전

  • V자 반등 시작: S&P 500이 1.5% 급등하며 5월 이후 최대 상승률 기록
  • 금리 인하 기대감: 부진한 고용 지표가 오히려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를 부각
  • BLS 국장 해임: 트럼프, 고용보고서 조작 주장하며 노동통계국장 해임

8월 5일 (화요일)

  • 팔란티어 깜짝 실적: 분기 매출 10억 달러 돌파, 상업부문 93% 성장
  • AMD 실망: 데이터센터 매출 증가율이 기대 미달, 중국 불확실성 언급
  • ISM 서비스업: 50.1로 예상치 하회,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제기

8월 6일 (수요일)

  • 반도체 관세 위협: 트럼프, 수입 반도체에 100% 관세 위협하나 미국 투자기업 면제
  • 상호관세 발효: 스위스 39% 등 새로운 관세 발효, 금괴 관세로 금값 상승
  • 우버·맥도날드 호실적: 실적 발표로 주가 상승

8월 7일 (목요일)

  • Fed 이사 지명: 스티븐 마일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을 Fed 이사로 지명
  • 401K 개편: 퇴직연금에 헤지펀드, 암호화폐 편입 허용 행정명령
  • 일본 관세 해결: 일본과의 관세 추가 인상 문제 해결

8월 8일 (금요일)

  • 나스닥 신고가: 나스닥 100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 애플 투자 발표: 미국 내 1천억 달러 추가 투자 발표 (총 4년간 6천억 달러)
  • 6월 이후 최고의 한 주: 대형 기술주 랠리로 강력한 마무리

📌 다음 주 주목할 일정

8월 12일 (화요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 헤드라인 2.8%, 근원 3.0% 예상
8월 12일: 중국 관세 유예 만료 (90일 연장 가능성)
8월 14일 (목요일):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8월 15일 (금요일): 7월 소매판매, 수입물가지수 발표
8월 11-15일: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가능성

💭 종합 분석 및 향후 전망

이번 주는 정말 시장의 복원력을 보여준 한 주였습니다. 지난주 고용 쇼크로 인한 패닉이 오히려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을 키우면서 ‘나쁜 뉴스가 좋은 뉴스’가 되는 역설적인 상황이 연출되었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들:

  1. 금리 인하 기대감 급등: 9월 금리 인하 확률이 95% 수준까지 올라가며 시장이 확신을 보이고 있습니다. 스티븐 마일런의 Fed 이사 지명은 이러한 기대감을 더욱 부채질했습니다.
  2. 기업 실적의 양극화: 팔란티어, 우버 등은 깜짝 실적을 발표한 반면, AMD, 슈퍼마이크로컴퓨터 등은 실망스러운 결과를 보였습니다. AI 관련주들도 명암이 갈렸습니다.
  3. 관세 정책의 미묘한 변화: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를 위협하면서도 미국 투자 기업에 대한 면제를 언급한 것은 정책의 실용적 접근을 보여줍니다. 애플의 6천억 달러 투자 발표가 이를 증명합니다.

포트폴리오 관점에서는 지난주의 방어적 전환이 적절했다고 판단됩니다. 시장이 안정화되면서 다시 일부 ETF를 진입시키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신중한 접근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 핵심 변수는 화요일 발표되는 CPI 지표입니다. 관세 효과가 물가에 어느 정도 반영될지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가 결정될 것입니다. 시장 컨센서스는 헤드라인 2.8%, 근원 3.0%인데, 만약 이를 상회한다면 금리 인하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습니다.

TSLL과 SLDP의 강력한 반등은 변동성이 높은 종목들의 특성을 다시 한번 보여줬습니다. 이런 종목들은 하락할 때도 크게 떨어지지만, 반등할 때도 폭발적인 상승을 보여줍니다. 장기 투자 관점을 유지하며 변동성을 견뎌내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시장이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은 남아있습니다. 원칙을 지키며 단계적으로 포지션을 늘려가는 전략을 유지하겠습니다.